[Recommand] 추천시스템 성능 평가 방법 - MAP, nDCG, MRR
·
AI Study/Marketing&Recommend
최근에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에서든 추천시스템을 사용하는 듯 하다. 패션, 커머스는 물론이거니와 증권, 금융사, 교육 쪽에서도 추천시스템은 화두가 되고 있다. 추천 시스템 알고리즘이 점점 뜨고 있는만큼, 추천시스템이나 검색어시스템 안에서 모델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나, 랭킹 기반으로 추천할 때 평가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해서 오늘은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예측값의 정답 여부 정의 지표에 대해 이야기 하기에 앞서, 정답 여부에 대한 정의가 어떤 것이 있는지 한번 생각해보고자 한다. 앞으로 설명할 지표에서는 정답여부를 관련있다(Relevant)라고 말하고 있다. 커머스 분야의 경우 관련있다의 정의는 무조건 구매 여부를 가지고 판단할 수 는 없다. 사용자마다 정의하기 나름인데, 보통 클릭여부,..
[논문 리뷰] 추천시스템을 위한 Wide & Deep Learning
·
AI Study/etc
해당 포스팅은 Wide & Deep Learning For Reccommender Systems 를 번역하고 주관적인 생각을 약간 섞어 리뷰한 것이다. 개요 비선형 변수 변환을 사용하는 일반화 선형모델은 대규모 회귀분석과 sparse(희소)한 input을 가진 분류문제에 대해 다양하게 사용된다. Wide Memorize에 효과적이다. (cross-product columns) 변수 간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에 효과적이며, 해석가능하다. But, 일반화(Generalization)하는데에는 더 많은 feature engineering이 필요하다. Deep 적은 feature engineering을 사용한다. sparse한 input 변수들을 저차원 embedding 시킴으로 변수간의 보이지 않는 조합을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