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 commit 취소하기, git commit 수정하기
·
Programming/Git
git을 사용하다 보면 git commit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내용을 취소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이부분은 가끔 나도 헷갈릴 떄가 있어서 기록용으로 저장해놓는다. 그전에 git add를 취소하는 방법을 알고 싶은 사람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면 된다. [Git]Git add 명령어 되돌리기 보통 git 명령어를 사용하다 보면 git add를 잘못해서 뒤로 돌려야 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일어난다. 단순히 수정해서 다시 올려야 하는 경우에는 수정하고 다시 git add를 하면 되지만, 아직 staging 할 everywhere-data.tistory.com git commit 수정하기 git commit을 너무 빨리 해서 add를 추가로 해야할 때, commit mes..
[Git] git commit 히스토리 조회하기
·
Programming/Git
git의 최고의 장점 중 하나가 버전 관리가 된다는 것인데, 이것이 다른 말로 하면 이력 관리가 가능하다는 말이다. git의 이력을 관리하면서 이전 버전으로 돌아갈수도, 거기서 수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 오늘은 git의 이력을 조회하는 명령어로 포스팅을 해보려 한다. git을 사용하면서 소스코드를 수정하다보면 수많은 commit을 수행한다. 그러다보면 언제 어떤 commit을 실행했는지 확인해야 할 때가 있다. 그때는 "git log"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현재 계속 사용하고 있는 "temp" repository에서 git log를 실행해보려 한다. $ git log commit 63d3f22539a85ba59fde6cbc7ddf7982519500b8 (HEAD -> master, origin/m..
[Git] Staging이 뭐지?? - Git에서 파일의 상태 알기
·
Programming/Git
내가 처음 Git을 접했을 때 제일 당혹스러웠던 것이 Staging의 개념이다. 그리고 그 개념을 알고나서 "Git이 정말 똑똑하구나!"하고 느꼈던 지점도 Staging이었다. 평소 우리가 단순히 사용하는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개념과 가장 큰 차이를 가지고 있는게 이 부분일 것 같다. 그럼, Git의 status 개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local에 git 저장소를 하나 만들고 git remote add를 통해 저장소를 연결하고나면 레파지토리에 있던 모든 파일들이 로컬과 연동된다.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들은 크게 두 가지 상태로 나뉜다. Tracked(관리 대상) Untracked(비관리 대상) 저장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즉 git이 알고있는 모든 상태, push하기 전의 모든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