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깃허브 레파지토리(repository) 만들기
·
Programming/Git
로컬과 깃허브를 연동하려면 먼저 깃허브에 레파지토리를 생성해야 한다. 레파지토리를 생성하는 방법을 먼저 알아보고, 그 후에 로컬과 연동시키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깃허브 로그인을 하면 오른쪽 상단에 알림 표시와 함께 나의 계정이 있다. 나의 계정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툴팁이 하나 있는데, 저기서 "Your repository"를 클릭한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존재하는데, 저기서 오른쪽 상단에 "New"버튼을 클릭해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한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에서 레파지토리 이름과 설명을 설정하면 된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Repository name : 사용할 repository 이름 Description : repository에 대한 간략한 설명 작성 Public/Private ..
[Git] 깃허브 계정 만들기
·
Programming/Git
당연한 소리지만 깃허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깃허브 계정부터 만들어야한다. 깃허브 계정 만드는 것은 구글 계정 만드는 거나 다름없다고 생각한다 ㅎㅎ 1. 우선 깃허브 사이트에 들어간다. github.com/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5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사용할 usern..
[Git] 버전 관리를 위한 tool, git!!
·
Programming/Git
아래 내용은 나처럼 깃허브를 사용하려 했지만 어려워서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던 사람들을 위해, 그리고 내가 잊어버릴까봐..ㅎ 기록용을 위해 적어놓는 내용들이다. 개발 직군, 데이터 분석 직군, 최근에는 디자이너 직군까지 많은 사람들이 github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나조차도 학부 때부터 github에 대해 많이 들아왔지만 막상 어려워서 잘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버전관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꼈고, 한번 알고 난 후에는 버전관리와 협업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최근에는 개발 직군의 직원을 채용할 때 포트폴리오 대신 깃허브 링크를 받아 보는 사람도 많다고 하니, giuthub를 시작하면서 포트폴리오 관리를 하는것도 매우 좋다고..